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 경제 정책(아베노믹스, 현재 정책)과 증시의 관계

by J외노자 2025. 3. 14.

차트 배경과 함께 일본 지도가 있는 이미지 입니다.

일본 경제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며, 정부의 경제 정책이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큽니다. 특히 2012년부터 시작된 아베노믹스(Abenomics)는 일본 경제의 회복 및 증시 활성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후 정권이 바뀌면서 경제 정책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베노믹스의 주요 내용현재 일본 정부의 경제 정책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정책이 일본 주식 시장에 미친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아베노믹스(Abenomics) 개요

아베노믹스는 2012년 12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가 주도한 경제 정책으로,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시행된 강력한 경기 부양책입니다. 아베노믹스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 기둥(Three Arrows)으로 구성됩니다.

1) 아베노믹스의 3대 기둥

기둥 내용 목표
양적 완화 정책 일본은행(BOJ)을 통한 대규모 국채 매입 및 금리 인하 디플레이션 탈출 및 엔화 약세 유도
재정 정책 정부 주도의 인프라 투자 및 경기 부양책 확대 고용 증가 및 소비 촉진
구조 개혁 노동 시장 개혁, 규제 완화 및 기업 경쟁력 강화 장기 성장 동력 확보

2) 아베노믹스 시행 결과

  • 닛케이225(Nikkei225) 지수는 2012년 말 약 10,000포인트에서 2020년 말 약 27,000포인트로 상승 (약 170% 상승)
  • 엔화 약세로 인해 일본 수출 기업의 수익 증가
  • 일본 기업의 고용 증가 및 소비 활성화
  • 하지만 정부 부채 증가 및 소득 불평등 심화

▶ 아베노믹스 시행 전후 닛케이225 지수 변화

시점 닛케이225 지수 변화율
2012년 12월 10,395 -
2015년 12월 19,033 +83%
2020년 12월 27,444 +170%

2. 현재 일본의 경제 정책

2020년 9월 아베 신조의 사임 이후,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가 아베노믹스를 계승한 정책을 시행하였으나, 경기 활성화에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이후 2021년 10월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가 취임하면서 새로운 경제 정책인 뉴 캐피탈리즘(New Capitalism)을 발표하였습니다.

1) 뉴 캐피탈리즘의 주요 내용

  • 임금 인상 유도: 노동 시장 개혁 및 기업의 임금 인상 장려
  • 디지털 경제 활성화: IT 및 기술 혁신 기업 지원
  • 녹색 성장 전략: 친환경 에너지 및 탄소 중립 정책 강화
  • 사회 복지 강화: 보육 및 고령자 복지 강화

2) 현재 경제 정책의 특징

  • 금융 완화 정책 유지: 일본은행은 초저금리 및 양적 완화 정책 지속
  • 인플레이션 대응 강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수입 물가 상승에 대비
  • 수출 경쟁력 강화: 엔저(円安)를 유지하면서 수출 기업의 경쟁력 강화

3) 현재 정책의 증시 영향

  • 엔저 지속 → 수출 기업의 실적 개선 → 닛케이225 상승
  • 임금 인상 및 내수 활성화 → 내수 중심 기업의 주가 상승
  • 디지털 전환 및 친환경 투자 → 신기술 및 친환경 기업 주가 상승

▶ 현재 경제 정책의 증시 영향 요약

정책 증시 영향
금융 완화 정책 수출 기업의 실적 개선 및 주가 상승
임금 인상 및 내수 활성화 내수 중심 기업의 주가 상승
디지털 전환 및 친환경 정책 신기술 및 친환경 기업의 주가 상승

3. 결론

아베노믹스는 일본 경제와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닛케이225 지수의 급등을 이끌었습니다. 기시다 총리의 뉴 캐피탈리즘 정책은 아베노믹스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전환, 녹색 성장, 내수 활성화 등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